
대구국제공항의 국제 노선망이 크게 늘어나고 한-중 관계 냉각으로 잠정 운휴에 들어갔던 중국 노선이 속속 재개되는 등 대구의 하늘길이 넓어지게 될 전망이다. 22일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항공업계의 하계시즌(3월 25일~10월 27일) 운항 스케줄 조정이 마무리되면서 대구국제공항의 국제선 정기노선 추가 신설과 기존 운항 노선의 증편을 통해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됐다. 티웨이항공은 블라디보스톡(4월 6일부터·주 3회) 노선을 신설하고 기존 운항 중인 세부(3월 25일부터·주 6회→주 7회), 홍콩(3월 25일부터·주 3회→주 7회), 오키나와(4월 6일일부터·주 4회→주 5회), 오사카(4월 6일부터·주 11회→주 14회) 노선을 증편한다. 또 한·중 사드(THAAD·고고도미시일방어체계) 갈등으로 인한 이용객 급감으로 운휴 중이었던 제주항공의 베이징(4월 27일부터·주 3회), 티웨이항공의 상하이(하계기간 중 재개·주 3회) 노선 운항이 재개되며, 동방항공의 상하이(3월 25일부터·주 4회→주 7회) 노선이 증편된다. 이번에 운항이 재개되는 중국 노선의 경우 사드 위기로 인한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만큼 대구시는 여객 실적 변동 추이를 지속 추적해 수요 관리 측면에서 노선 안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구시민의 항공교통 편의 증진과 동시에 지역 경제·산업·관광업계 전반에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지역을 목표로 항공사 측과 노선 신설을 적극 협의 중이다. 한편, 올해 2월까지 대구국제공항 여객실적은 65만9,508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52만8,635명 대비 24.8%(13만873명) 증가했다. 특히 국제선 여객실적은 33만8,738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21만5,341명 대비 57.3%(12만 3,397명)나 증가했고 국내선 여객실적은 32만770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31만3,294명 대비 2.4%(7476명) 증가했다. 올해 대구국제공항의 여객 실적이 수용한계치(375만명)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대구시는 터미널·주차장 등 전반에 걸쳐 수용능력 증대 방안을 국토교통부, 한국공항공사와 심도 있게 협의 중이다. 김도은기자 |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