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위 /거느리는 신 /손에드는물건 /감정지배
동방 지국천왕 /건달바, 부난다/비파 /기쁨 남방 증장천왕 /구반다, 폐려다/보검(칼) /사랑 서방 광목천왕 /비사사, 용 /용,여의주,견색(새끼줄)/노여움 북방 다문천왕 /야차, 나찰 /보탑, 깃발 /즐거움
사천왕은 욕계 육천 하늘의 첫번째 문 이자 수미산 세계의 중턱에 위치하여... 수미산 의 동,서.남.북 4주에 위치해 각각의 세계를 수호하고있다...중략
수미산 세계의 모형에 해당하는 사찰 구조 에는 필히 사천왕들이 머물 전각을 마련해 두어야한다.
사천왕은 권선징악적 성격을 표방하고 있기도하는데, 그에 인하여 전체 인간사를 관장하고 있는 이들 사천왕은 착한 일과 나쁜 일 들을 적절한 시기에 판단하여 그에 따른 상과 벌을 우리 인간들에게 내리게 된다고 한다. 그리하여 사천왕문에 들어설 때 사람들은 내심 두려운 마음을 갇기도 하고 또한 최대의 공경을 올리기도 하는 한편, 인간사에서 희망하는 바 여러 소원을 되뇌어 보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법화경] 가운데 사천왕과 관련된 하나의 주문을 발견할 수 있어, 여기 인용해 보기로 한다.
"그때 지국천왕이 ... 부처님앞에 나아가 합장하고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저도 또한 다라니 신주로서 [법화경] 을 수지 하는 이를 옹호하리라' 하고 곧 주문을 설하였다. '아가네 가네 가우리 간다리 찬다리 마탕기 폭카시 상쿠레 부루사 리시시 스바하"
물론 각 사천왕들에 대한 그 각각의 주문들이 있겠으나, 앞에 소개된 주문은 지국천왕의 주문 으로서, 앞서 말 한 바와 같이 지국천왕은 법화경 일불승 사상의 울타리 즉 일주문을 거쳐 이 사천왕문 까지에 이른 채 위 주문을 외우는 사람들을 필히 옹호할 것이니, 누구나 사천왕문에 이르러 한번쯤은 위 주문을 외워봄직도 한 일이라 하겠다.
사천왕은 원래 귀족적 모습으로 조성이 되었으나 중앙아시아와 중국을거쳐 우리나라로 오는 가운데 무인상으로 그 모습이 변형되었다.
출처: 가람 절을 찾아서/정각스님지음/
정각스님:송광사출가, 통도사 강원 졸업 동국대, 불교학과 졸업 박사과정 수료 정각스님 저서:가람 절을 찾아서, 빈곤한 자의 초상 등 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