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불교조계종 종교평화위원회(이하 조계종 종평위)가 최근 유영익 한동대 석좌교수를 신임 국사편찬위원장으로 내정한 것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며 임명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내놓았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9월 23일 신임 국사편찬위원장으로 유영익 한동대 교수를 내정했다. 그러나 유영익 교수는 그간 각종 저서와 기고문 등에서 특정 종교에 편향된 역사인식을 드러내 왔으며, 기독교 국가건설을 표명할 정도로 친기독교적 성향을 지닌 이승만 전 대통령을 ‘대한민국 건국에 절대적으로 공헌한 대통령’으로 평가하면서 그의 기독교 장려 정책을 칭송해 왔다. 조계종 종평위에 따르면 유영익 교수는 여러 기고글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기독교 장려정책을 찬양하며 이승만 대통령이 기독교 정권을 창출했다고 하고 있다고 하였다. 게다가 헌법에 명시된 정교분리의 원칙을 형해(形骸)화 시키고 한국을 기독교 국가로 탈바꿈한 것에 대해 독실한 신자의 모범이라고 표현하며 찬사를 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조계종 종평위는 이승만 정부의 기독교 편향 정책들에 대한 학계의 부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상반된 가치평가를 하는 것에 대해 역사학자로서의 자질조차 의심스러울 지경이라고 하며 잘못된 종교관과 편향적인 역사관을 가진 사람을 공공기관의 수장으로 임명한다는 것은 상식을 저버린 처사라고 했다. 또한 이러한 사람을 대한민국의 역사를 관장하는 곳의 책임자로 세운다는 것은 나라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라 하였다. 이에 박근혜 정부가 각 계의 우려를 수렴해 유영익 교수의 신임 국사편찬위원장 내정에 대해 재고하기 바라며 지금이라도 당장 임명을 철회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하였다. 다음은 유영익 국사편찬위원장 내정에 대한 종평위 입장 전문
대한불교조계종 종교평화위원회는 최근 유영익 한동대 석좌교수를 신임 국사편찬위원장으로 내정한 것에 대해 심히 우려를 표하는 바이며 지금이라도 유영익 교수의 임명을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9월 23일 신임 국사편찬위원장으로 유영익 한동대 교수를 내정했다. 그러나 유영익 교수는 그간 각종 저서와 기고문 등에서 특정 종교에 편향된 역사인식을 드러내 왔으며, 기독교 국가건설을 표명할 정도로 친기독교적 성향을 지닌 이승만 전 대통령을 ‘대한민국 건국에 절대적으로 공헌한 대통령’으로 평가하면서 그의 기독교 장려 정책을 칭송해 왔다. 특히 교학사 교과서가 인용한 <대한민국 건국의 재인식>이라는 저서에서 “이승만이 대한민국을 건국한 것은 하느님과 밤새도록 씨름을 한 끝에 하느님의 축복을 받아 낸 야곱의 이야기를 연상시키는 위업”이라고 찬양하고 있다. 또한 다른 글에서는 국가행사에 기독교식 선서를 하게 하는 등 이승만 대통령의 기독교 장려정책에 대해 로마제국을 기독교 국가로 만드는데 기여한 콘스탄티누스에 비유하며 이승만 대통령이 기독교 정권을 창출했다고 하고 있다. 게다가 헌법에 명시된 정교분리의 원칙을 형해(形骸)화 시키고 한국을 기독교 국가로 탈바꿈한 것에 대해 독실한 신자의 모범이라고 표현하며 찬사를 하고 있다. 이승만 정부의 기독교 편향 정책들이 결과적으로 정교분리 및 종교자유의 원칙을 흔들었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음에도 이와는 상반된 가치평가를 하는 것에 역사학자로서의 자질조차 의심스러울 지경이다. 이미 역사학계에서도 유 교수의 내정에 우려를 표하며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정교분리의 원칙은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사항이며 공직자의 종교중립 의무 또한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종교관과 편향적인 역사관을 가진 사람을 공공기관의 수장으로 임명한다는 것은 상식을 저버린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이러한 사람을 대한민국의 역사를 관장하는 곳의 책임자로 세운다는 것은 나라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편향된 종교인식은 종교간 갈등과 사회적 혼란을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국민화합과 사회통합을 깨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위원회는 각 계의 우려를 수렴해 유영익 교수의 신임 국사편찬위원장 내정에 대해 재고하기 바라며 지금이라도 당장 임명을 철회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박근혜 정부는 유영익 국사편찬위원장 내정을 즉각 철회하라! 불기2557(2013)년 10월 1일 대한불교조계종 종교평화위원회
| |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