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6일 집주인 앞으로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이라는 글을 남긴 후 번개탄을 피운 후 자살한 세모녀 사건과 관련 조계종 노동위원회가 이 사건은 우리 사회의 자화상이라며 사회적 분위기의 환기를 촉구했다. ▲ 생활고 세 모녀가 남긴 글 (사진=서울지방경찰청 제공) |
|
조계종 노동위는 28일자로 된 '숨진채로 발견된 비극적 사건과 관련해'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삼가 고인의 명복을 지극한 마음으로 빈다."면서 "이번 세모녀의 죽음은 한국사회의 자화상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계종 노동위는 이와 관련 "끼니 걱정 속에, 아파도 병원에 못가고, 비정규 단기 고용을 전전 하다가 빚과 생활고에 찌들다가 끝내 생을 마감하고 마는 사람들의 숫자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지만 한쪽에선 단기 순이익이 몇 조 이고, 성과급이 몇 천이고 하면서 백화점 고가 물건들이 불티나게 팔려 나가는 서글픈 자화상 말이다."는 것. 조계종 노동위는 계속해서 "2012년 한국의 자살 숫자는 1만 4160명이었다."면서, "근래 자살이유가 경제적 어려움의 고통 속에서 가족 집단자살이 라는 형태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회 전체에게 아픔과 슬픔, 고통을 안겨주고 있는 비극이다. 최소한의 삶이 보장되는 사회를 시급히 마련하지 않으면 이 비극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고 경고했다. 조계종 노동위는 "이번 세모녀의 죽음을 우리 문제, 내 가족의 문제로 바라 봐야 해결책이 나 올 수 있을 것"이라면서 "정부, 국회 뿐 만이 아니라 재벌 등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이 땅위에 사는 모든 사람이 한 몸이며 내 몸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으로 소외되고 가난하고 아픈 사람들의 문제를 해소해 나가야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특히 정부와 국회는 기초연금, 장애인 연금 현실화, 중증 환자 의료보험, 노동력 상실자의 복지 등의 입법제도를 서둘러야 할 것"이라면서 "한사람이 태어나서 배고프지 않고, 최소한의 거주 공간, 몸 아프면 치료 받을 수 있는 것은 국가 구성원으로서 권리이며, 국가는 마찬가지로 의무이며, 국가 구성원 또한 같이 책임을 지는 사회가 국민 행복 사회 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조계종 노동위의 성명서 전문이다. 세 모녀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하여 26일 오후 9시 서울 송파구 석촌동의 한 단독주택 지하 1층에 살던 박아무개(61)씨와 큰딸 김아무개(36)씨, 작은 딸(33)이 번개탄을 피워서 숨진 채로 발견 된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 하였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지극한 마음으로 빈다. 박씨의 남편이 12년 전 암으로 숨진 이 후 세 모녀는 식당일, 편의점 아르바이트 등을 하면서 생계를 근근이 꾸려왔던 걸로 알려졌고, 와중에 박아무개씨도 다쳐서 다니던 식당일을 그만두게 되었고, 큰 딸은 당뇨, 고혈압으로 노동력을 상실 한 채로 병원도 제대로 못 간 걸로 확인 되었다. 죽음을 결심하고 나서 집주인에게 “죄송합니다.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입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남긴 메모가 많은 사람의 가슴을 메이게 만들었다. 이번 세모녀의 죽음은 한국사회의 자화상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끼니 걱정 속에, 아파도 병원에 못가고, 비정규 단기 고용을 전전 하다가 빚과 생활고에 찌들다가 끝내 생을 마감하고 마는 사람들의 숫자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지만, 한쪽에선 단기 순이익이 몇 조 이고, 성과급이 몇 천이고 하면서 백화점 고가 물건들이 불티나게 팔려 나가는 서글픈 자화상 말이다. 2012년 한국의 자살 숫자는 1만 4160명이었다. 인구 10만 명당 33.3으로 OECD 국가 중 1위이며 그중 노인 자살 율은 10만 명당 81.6명이라는 충격적인 숫자이다. 근래 자살이유가 경제적 어려움의 고통 속에서 가족 집단자살이 라는 형태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회 전체에게 아픔과 슬픔, 고통을 안겨주고 있는 비극이다. 최소한의 삶이 보장되는 사회를 시급히 마련하지 않으면 이 비극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안타까운 죽음이 발생하더라도 무덤덤한 사회가 되어버리는 것이 더 비극적이요, 무서운 사회다. 이번 세모녀의 죽음을 우리 문제, 내 가족의 문제로 바라 봐야 해결책이 나 올 수 있을 것이다. 정부, 국회 뿐 만이 아니라 재벌 등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이 땅위에 사는 모든 사람이 한 몸이며 내 몸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으로 소외되고 가난하고 아픈 사람들의 문제를 해소해 나가야 된다. 특히 정부와 국회는 기초연금, 장애인 연금 현실화, 중증 환자 의료보험, 노동력 상실자의 복지 등의 입법제도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한사람이 태어나서 배고프지 않고, 최소한의 거주 공간, 몸 아프면 치료 받을 수 있는 것은 국가 구성원으로서 권리이며, 국가는 마찬가지로 의무이며, 국가 구성원 또한 같이 책임을 지는 사회가 국민 행복 사회 일 것이다. 조계종 노동위원회도 앞으로 빈곤의 문제에 대하여 책임 있는 자세로 나아갈 것임을 밝히며 다시 한 번 세모녀의 죽음에 깊은 슬픔을 함께하며 영혼들의 극락왕생을 진심으로 기원한다. 2014년 2월 28일 대한불교조계종 노동위원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