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도들이 기부금을 낸 것처럼 꾸민 거짓 영수증을 발급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한 종교단체 등 63곳의 명단이 공개됐다. 국세청은 3일 불성실 기부금 수령단체 명단을 홈페이지 세무서 게시판,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신도들이 기부금을 낸 것처럼 꾸민 거짓 영수증을 발급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한 종교단체 등 63곳의 명단이다. 이번 명단 공개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공개 대상자는 2013년 귀속 소득공제용으로 거짓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하거나 영수증 발급명세서를 제대로 작성·보관하지 않은 63개 단체다. 이들 단체를 유형별로 보면 종교단체가 95%(60개)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나머지는 사회복지단체 1곳, 문화단체 1곳, 기타 1곳이다. A 단체의 경우 신도들로부터 영수증 한 건당 5만∼10만원씩 받고서는 멋대로 금액을 써넣을 수 있는 백지 기부금 영수증을 수백 건 발급했다. 주택가에서 종교단체 간판을 내걸고 사주·궁합 등을 봐주는 철학관을 운영하던 B 단체는 다른 종교단체의 기부금 영수증을 입수한 뒤 고유번호와 도장을 도용해 신도들에게 수억 원어치 영수증을 찍어줬다. 종교단체로 등록돼 있지만 실제 활동은 거의 없었던 C 단체의 대표는 멀리 사는 대기업 직장인이나 고소득 자영업자 등 지인들의 부탁을 받고 건당 5만원씩 수수료를 받고 가짜 영수증을 발급해 줬다. 이번에 공개된 단체 수는 지난해 공개된 것(102개)보다 39곳 줄었다. 거짓 기부영수증 발급액이 총 10억원 이상인 종교 단체는 7곳에서 1곳으로 감소했다. 국세청은 이들 단체에 가산세를 부과하고 거짓 영수증을 받은 신도 등을 상대로 근로소득세를 추징했다. 또 백지 영수증을 발급한 단체 등 4곳을 검찰에 고발했다. 국세청은 "기부금단체 등 정보공개를 강화해 건전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세청은 이날 지정기부금 단체 2천468곳의 '2014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를 홈택스 홈페이지에 처음 공개했다.
이 기사는 [매일종교신문] 제휴기사 입니다. |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