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비리 발본색원 & 친환경에너지 정책 전환"
2013.06.10 | 김성호 기자

원전비리로 인해 관련 원전들이 잇따라 가동을 멈추면서 전기수급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불교생명윤리협회와 정의평화불교연대가 ‘원전 비리 발본색원’과
함께 ‘친환경에너지 정책으로 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불교생명윤리협회와 정의평화불교연대는 지난 7일 ‘원전 비리 발본색원하고
친환경에너지 정책으로 전환하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지금 한국은 원전 사고가 나기 직전의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에 있다.”면서, “그럼에도
안전시스템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들은 이어 “유럽이나 일본과 달리 한국은 세계 최고로 원전
비리가 많은 나라다.”면서, “도덕성은 물론, 책임감이나 공인의식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핵마피아와 한수원의 관련자들이 원자력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고리 1호기는 4년 전 수명이 만료되었으나 10년 수명연장이 결정되어 현재 가동
중이고 월성 1호기는 2012년 수명이 다하여 가동이 중지된 상태이지만 현재 수명연장 심사를 거치고 있다.”는 것. 이들
단체들은 이 같이 문제점을 지적한 후 “우리는 정부가 기만적인 원전정책을 포기하고 지역 중심의 재생에너지나 생태지향적인 발전소를 지어 지역단위로
전력을 공급하고 소비하는 체제로 전환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이제 우리는 인류의 생존과 생명을 위협하는 핵에너지에서 벗어나서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하고 지역 단위로 재생 및 친환경 에너지 중심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소비하는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들 단체들이 요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부는 원전 중심과 중앙 집중식 에너지
공급 정책을 포기하고, 지역 단위로 재생에너지와 친환경 발전에 기초하여 자급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소비하는 체제로 전환하라.
▲정부는 원전비리가 구조적인 문제임을 인식하고 철저하게 배후와 조직을 파헤치는 수사를 하여 근원에서 발본색원하라.
▲정부와 한국 전력은 타당성을 철저히 재조사하고 송전탑의 지중화, 초전도 케이블 설치, 대안노선 등 모든 대안책을 투명하고
공개적으로 모색하라. ▲대통령은 원전을 현지 시찰해서 직접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현지 주민과 대화하라.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에 더욱 적극적인 투자를 하라. |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