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능가경 - 주요 용어 해설(가 ~ 사)
가)
* 가리(佉利) : 범어 카리(khari)의 음사. 5만2천 말
* 가리사나(迦利沙那) : 범어 카르삼(karsam)의 음사. 1냥(냥) 37.5g
* 가타(伽陀) : 불교경전의 게송.
* 갈들(葛藤) : 덩굴풀
* 감자종(甘蔗種) : 고대 인도의 오래된 혈통 중의 하나로, 석가족의 선조이다.
* 거리(擧利) : 범어 코티(koti)의 음사. 1억.
* 계라(鷄羅) : 범어 카일라사(kailasa)의 음사. 인도의 성지인 카일라스 산. 티베트 불교에서는 수미산으로 여긴다.
* 공상(共相) : 일반적 특질.
* 공후(箜篌) : 작은 하프와 같이 생긴 현악기.
* 굉맥(䵃麥) : 범어 야바(tava)의 음사. 1cm.
* 구나(求那) : 속성
* 구수사(拘數舍) : 범어 크로사(krosa)의 음사. 소의 울음소리나 북소리를 들을 수 있는 최대거리. 실제거리는 명확하지 않으나, 보통 1km로 간주한다.
* 궁(弓) : 범어 dhamva, 처음과 끝. 궁궁수(弓弓數)는 숫자의 처음부터 끝의 뜻.
* 금강유삼마제(金剛喩三摩提) : 일반적으로 금강삼매(金剛三昧)라고도 한다. 십지의 보살이 체득하는 삼매로서 이것에 의해서 보살은 여래신을 얻는다고 한다.
나, 다)
* 남녀림(男女林) : 남녀의 시체로 된 묘지. 시타림
* 녹자모사(鹿子母舍) : 녹자(鹿子)는 사위성에 살았던 장자의 이름이며, 그의 어머니가 부처님을 위해 사찰을 지어 보시했으므로 그 사찰의 이름을 녹자모 강당이라 부른다.
* 늑차(勒叉) : 범어 락사(laksa)의 음사. 10만.
* 능가산(楞伽山) : 현재 인도 동남부 스리랑가 섬을 말한다.
* 다라표(陀羅標) : 실체.
* 대종(大種) : 지 · 수 · 화 · 풍의 4대. 물질의 요소
* 독롱나(獨籠那) : 범어 드로나(drona)의 음사. 4아라로서 즉 16말
라, 마)
* 뢰제(賴提) : 범어 라크시카(raksika)의 음사. 초자(草子), 풀씨.
* 마사(摩沙) : 범어 마사(masa)의 음사. 콩
* 멸정수(滅正受) : 멸진정(滅盡定). 즉 모든 마음의 작용이 소멸된 선정.
* 무성(無性) : 사물, 존재가 없음.
바)
* 발타(鉢他) : 범어 프라스타(prastha)의 음사. 한 되.
* 보(步) : 활의 길이. 180cm.
* 부사의변(不思議變) : 청정한 진여를 움직이게 하여 차별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
* 부사의훈(不思議薰) : 무명(無明)이 그 자체로 청정한 진여에 훈습(薰習)하여 현상세계를 나타내는 것.
* 분별사식(分別事識) : 각각의 사물을 판단하는 식
* 불남(不南) : 양성구유(兩性具有), 혹은 제거된 자
* 불자(佛子) : 승자(勝者 : 부처님)의 자녀들. 능가경에서는 특히 보살을 말한다.
* 비니(毘尼) : 비니야(vinaya)의 음사로서, 계율(戒律) 가운데 율(律)에 해당한다. 타율적인 불교 교단 내부의 규칙.
* 비사량(非思量) : 추론하다
* 비성(非性) : 비존재. 무(無).
* 빈파라(頻婆羅) : 범어 빔바라(bimbara)의 음사. 10의 17승. 10경(京)
사)
* 사라사파(舍梨娑婆) : 범어 사르사파(sarsapa)의 음사. 겨자(芥子)
* 삼자성(三自性) : 유식에 있어서 일체법을 보는 입장에 따라서 3종으로 나눈 것. 첫번째 망상자성(妄想自性)은 분별성(分別性)[진제].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현장]으로도 번역된다. 중생의 망상의 구상(構想, 허망분별)에 의해서 실재로 보여지는 부분의 능취(能取, 주관), 소취(所取, 객관)의 대립되는 세계를 말한다. 두번째 연기자성(緣起自性)은 의타성(依他性) [진제], 의타기성(依他起性) [현장]으로 번역된다. 주관, 객관으로서 나타난 알라야식이 의타의 존재. 즉 연기된 것이라는 사실을 말한다. 알라야식의 진실한 모습에 의해서 주관, 객관으로서 나타나는 것이 중지되는 것, 능취. 소취가 중지되면, 그때 일체법의 진실한 모습이 나타난다. 그것을 세번째 성자성(性自性)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성취성(成就性) [전제]. 원성실성 [현장]으로 번역되며, 행위에 의해서 완성된 것이란 뜻이다. 즉 깨달음의 세계를 말한다.
* 상멸(想滅) : 무상정(無想定), 모든 마음의 작용이 소멸 되었으나 번뇌를 끊는 무루의 지혜를 얻지 못한 범부나 외도의 선정.
* 성급론(成及論) : 논리와 해설
* 세요고(細腰鼓) : 장구와 같이 허리가 잘록한 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