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불교인드라망 정모 법회

불기 2569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뉴스 > 불교경전  

지장보살과 대세지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시나

2018.12.03 | 이은경



지장보살과 대세지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시나


지장보살(地藏菩薩)은 다른 이름으로 지지보살(持地菩薩),

묘당보살(妙幢菩薩) 또는 무변심보살(無邊心菩薩)이라고도 하며

<대승대집지장십륜경> <지장보살본원경> <점찰선악업보경>

 등에서 주로 설해지고 있는 보살입니다.


<지장보살>


<지장십윤경>에 의하면 지장보살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입멸하신 후 미륵부처님이

이 땅에 출현하실 때까지 육도윤회의현 실세계에 몸을 나누어

 중생들을 구제하도록 석가모니부처님으로부터

 위촉받은 분이라고 합니다.

흔히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이 아무도 없어

지옥이 텅빌 때까지 성불하지 않겠다는 서원으로 유명한

 이 보살에게는 따라서 대원본존(大願本尊)이라는 수식어가 붙어다닙니다.

말하자면

중생제도의 맹세가 누구보다도 강하고 위대한 분으로서,

그 원력의 힘으로 자신의 안락은 뒷전으로 돌리고

지옥이든 천상이든 고통받는 중생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쫓아가서

 그를 구원하는 분인 것입니다.

이와 같은 지장보살은 흔히 삭발을 한 체 지팡이나

지혜를 상징하는 보배구슬을 든 형상을 하고 계신 경우가 많은데,

특히 지옥 중생들의 제도와 관련하여

 명부전(冥府殿)이나 지장전(地藏殿)의 보존으로 모셔지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관세음보살과 함께

아미타부처님의 옆에 모셔지기도 합니다.




<대세지보살>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은 득대세(得大勢),

대정진(大精進)이라고 하며 본래 관세음보살과 함께

 아미타부처님을 보좌하는 보살로 잘 알려져 있는 분입니다.

<관무량수경>에 의하면 관세음보살의

이마에 아미타부처님의 화불을 모시고 있는데

비해 보병을 지니고 있는 것만이 다를 뿐 그 형상이

관세음보살과 거의 흡사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역사상 독립적으로 신앙된 일은 없이

 다만 아미타부처님의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로서만 모셔지는 분입니다.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
출판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문화

2018년 10월 13일 대구불교 한마음체육대회

2018년 10월 13일 청명한 가을하늘 아래대구월드컵 보조경기장에서 대..


회사소개 | 사이트맵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청소년보호정책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3동 1301-20번지 우리절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대표번호 TEL) 053-474-8228
등록번호 : 대구아00081 | 등록년월일 : 2012.03.26 | 발행인 : 심종근 | 편집인 : 이은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심종근
Copyright 2012(C) (주)참좋은신문사. All rights reserved.